공회빈 윤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공회빈 윤씨는 조선 명종의 세자였던 순회세자의 빈으로, 윤사익의 손녀이자 윤옥의 딸이다. 1561년 순회세자와 가례를 올리고 세자빈이 되었으나, 2년 뒤 순회세자가 요절하면서 11세의 나이에 과부가 되었다. 이후 덕빈으로 봉해졌으며, 인순왕후의 배려로 궁궐에서 생활하며 불교에 귀의했다. 1592년 임진왜란 중 사망하였으나, 시신을 수습하지 못하고 행방불명되었다. 사후 공회빈(恭懷)의 시호를 받았으며, 묘는 서오릉 순창원에 조성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무송 윤씨 - 윤회 (조선)
윤회는 조선 초기의 문신이자 학자로, 태종과 세종의 신임을 받으며 이조정랑, 예문관제학, 집현전제학 등을 역임했고 훈민정음 창제와 《자치통감훈의》 편찬에 기여했으며 청백리이자 문장가로 이름을 떨쳐 사후 문도라는 시호를 받았다. - 무송 윤씨 - 윤자운
윤자운은 조선 초 문신으로 세종의 총애를 받은 윤회의 손자이자 신숙주의 처남이며, 여러 관직을 거쳐 수양대군 즉위 후 좌익공신에 책록, 영의정까지 올랐으나 성격이 편협하고 뚜렷한 업적을 남기지 못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1553년 출생 - 모리 데루모토
모리 데루모토는 모리 모토나리의 손자이자 모리 가문의 당주로, 고바야카와 타카카게와 기카와 모토하루의 지원을 받으며 오다 노부나가, 도요토미 히데요시 휘하에서 공을 세웠으나,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서군 총대장으로서 실질적으로 참전하지 않아 영지를 잃고 조슈 번을 다스리게 된 인물이다. - 1553년 출생 - 정발 (1553년)
정발은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1579년 무과에 급제하여 관직에 나아갔으며, 1592년 임진왜란 때 부산진 첨사로서 왜군에 맞서 싸우다 전사하여 충렬공 시호를 받고 좌찬성이 추증, 동래 충렬사에 배향되었다. - 조선의 왕세자빈 - 순정효황후
순정효황후는 대한제국 마지막 황제 순종의 황후로, 황태자비 책봉 후 순종 즉위와 함께 황후가 되었으나 한일 병합 조약 이후 이왕비로 격하되었고, 순종 사후에는 대비로 불리다 한국 전쟁 중 창덕궁을 지키고 말년에는 불교에 귀의하여 낙선재에서 지내다 심장마비로 사망 후 유릉에 합장되었다. - 조선의 왕세자빈 - 순명효황후
순명효황후는 여흥 민씨 출신으로 순종의 황후이며, 세자빈으로 책봉된 후 대한제국 선포 후 황태자비, 순종 즉위 후 황후로 추봉되었으나, 명성황후 시해 사건 목격 후 우울증을 겪다 33세에 자녀 없이 사망하였다.
공회빈 윤씨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위 | 조선의 왕세자빈 |
재위 기간 (음력) | 1561년 10월 21일 ~ 1563년 9월 20일 |
존호 | 덕빈(德嬪) |
배우자 | 순회세자 |
자녀 | 없음 |
부친 | 윤옥 |
출생일 (음력) | 1553년 7월 21일 |
사망일 (양력) | 1592년 4월 14일 |
사망 장소 | 조선 한성부 창경궁 통명전 |
능묘 | 순창원(順昌園)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서오릉로 334-32 |
선임자 | 세자빈 박씨 (인성왕후) |
후임자 | 세자빈 유씨 (폐비 유씨) |
시호 | 공회빈(恭懷嬪) |
가문 | 무송 윤씨 |
생애 | 1553년 7월 11일 조선에서 출생 |
사망 장소 | 창경궁 통명전 |
사망 원인 | 병사 |
묘소 | 서오릉 창릉동 내 순창원 |
인적 사항 | |
아버지 | 윤옥 |
어머니 | 파평 윤씨 |
본관 | 무송 윤씨 |
종교 | 불교 |
가계 | |
배우자 | 순회세자 |
혼인 시기 | 1561년 |
사망 시기 | 1563년 |
칭호 | |
사후 칭호 | 공회(恭懷) |
이름 | |
한글 | 공회빈 윤씨 |
한자 | 恭懷嬪 尹氏 |
로마자 표기 | Gonghoebin Yunssi |
일본어 | 공회빈 윤씨 |
기타 | |
관련 링크 | 고양 서오릉 (高陽 西五陵) |
2. 생애
명종의 외아들인 순회세자의 세자빈이다. 1561년 세자빈으로 간택되어 '''덕빈'''(德嬪)에 봉해졌으나[78][26][27][79][28], 1563년 남편 순회세자가 11세의 나이로 요절하면서[29][33] 혼인 2년 만에 11세의 어린 나이로 과부가 되었다. 이후 궁궐에서 시어머니 인순왕후와 함께 지내며 후궁들을 가르치고, 독실한 불교 신자로서 세상을 떠난 남편과 왕실을 위해 불공을 드렸다.[29][81][42] 1592년 임진왜란 발발 직전 창경궁에서 38세의 나이로 사망하였으나[81][5][51], 전란의 혼란 속에서 시신을 찾을 수 없게 되는 비극을 겪었다.[29][46][53][81] 사후 '''공회'''(恭懷)라는 시호를 받았으며[52], 현재 서오릉 내 '''순창원'''에는 시신 없이 빈 재궁(관)만 묻혀 있다.
2. 1. 탄생과 가계
1553년 음력 6월 1일, 무송 윤씨 윤옥(尹玉)과 파평 윤씨 윤봉종(尹奉宗)의 딸 사이에서 둘째 딸로 태어났다.[5][6][78] 아버지는 윤옥이며, 할아버지는 공조판서를 지낸 윤사익(尹思翼)이다.아버지 쪽 증조부인 윤충보(尹忠輔)는 고려 말 조선 건국 당시 태조 이성계의 제안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관리가 되기를 거부하여 그 충절을 인정받았다.[13]
어머니 쪽으로는 파평 윤씨 가문과 연결되는데, 조선 시대에 정희왕후, 정현왕후, 장경왕후, 문정왕후 등 많은 왕비를 배출한 가문이었다.[14] 외할아버지 윤봉종은 원경왕후의 육촌이었으며,[15][16] 외할머니는 안동 김씨 출신이다. 외고모 중 한 명은 성종의 후궁인 명빈 윤씨였고,[17] 외숙모 중 한 명은 정종의 4대손과 혼인하였다.[18]
형제자매 관계는 다음과 같다.
관계 | 이름 | 배우자 | 비고 |
---|---|---|---|
언니 | 윤씨 | 구사열 | 세종 후손[7][8] |
오빠 | 윤백순(尹百順) | 이천이 | 효령대군 4대손[9] |
여동생 | 윤씨 | 이안성 | 정인지 후손, 세종 외손녀[10][11] |
이복 오빠 | 윤백상(尹百祥) | - | 첩의 아들[12] |
2. 2. 세자빈 책봉
1559년, 명종은 그의 외아들인 순회세자의 배필을 양반 가문의 7세에서 11세 사이 소녀들 중에서 간택하도록 명했다.[19] 당시 문정왕후의 남동생으로 권세를 누리던 윤원형은 왕실과의 혼인을 통해 자신의 정치적 영향력을 유지하고자 했다. 그는 자신의 인척인 창원 황씨 가문의 여성을 세자빈으로 추천하며[20][21], 황씨가 만성 질환을 앓고 있다는 사실을 숨기고 1560년에 세자빈으로 간택되도록 했다.[22][23][24]1561년 초, 황씨와 세자의 혼례 절차 중 다섯 단계가 진행되었으나, 황씨가 수개월 동안 심한 복통으로 고통받자 명종은 병든 소녀는 세자빈이 될 수 없다며 같은 해 혼인을 취소하고 세자빈을 다시 간택하도록 명했다. 황씨는 세자의 후궁인 양제로 강등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사망했다.[20][25]
이후 1561년(명종 16년) 음력 7월 21일, 공조판서를 지낸 윤사익(尹思翼)의 손녀이자 윤옥(尹玉)의 딸인 윤씨가 새로운 세자빈으로 최종 간택되었다.[78][26][27] 같은 해 음력 10월 21일, 창경궁 명정전에서 순회세자와 가례를 올리고 정식으로 세자빈에 책봉되어 '''덕빈'''(德嬪)이라는 호를 받았다.[79][28][29]
2. 3. 순회세자 사후
1563년 순회세자가 11세의 나이로 요절하자[29][33], 같은 해 11세였던 윤씨는 과부가 되어 '''덕빈'''(德嬪)에 봉해졌다. 순회세자 사후 시어머니인 인순왕후의 명으로 평생 궁궐에서 살게 되었다.[29][33] 인순왕후는 며느리 덕빈과 함께 문덕전에서 제사를 지내기도 했으며, 1574년 이어(移御)할 때 덕빈을 대동하기도 했다.[80]1567년 명종이 후사 없이 승하하자, 인순왕후는 중종의 서손자인 하성군을 양자로 삼아 왕위를 잇게 하니 이가 곧 선조이다.[32][35] 선조 즉위 당시 나이가 어렸으므로 인순왕후가 섭정을 맡았다.[36] 1569년 선조는 의인왕후와 혼인했다.[39] 이로써 당시 궁궐에는 인성왕후(인종의 왕비), 인순왕후(명종의 왕비), 덕빈 윤씨, 의인왕후 등 네 명의 왕실 여성이 함께 생활하게 되었다.[40][41] 인순왕후와 인성왕후는 1570년대에 모두 세상을 떠났다.[43][44][45]
덕빈 윤씨는 상당한 교육을 받아 후궁들을 가르쳤으며, 친척들의 궁궐 방문을 금지하기도 했다고 전해진다.[29] 또한 독실한 불교 신자였던 덕빈은 일찍 세상을 떠난 남편 순회세자와 왕실을 위해 자주 불공을 드리고 종교 의식을 거행했다. 당시 조선에서는 성리학을 국시로 삼아 불교를 이단시했으나, 선조는 덕빈의 처지를 가엾게 여겨 이를 금지하지 않았다.[81][42] 덕빈은 순회세자가 생전에 머물렀으며 전통적으로 세자들이 거처하던 창경궁에서 지냈다.[33][46]
한편, 덕빈의 아버지 윤옥(尹玉)은 1560년대 무렵 왕실 혼례를 명목으로 정부에서 받은 곡물을 호남과 영남 지방에서 면으로 바꾸어 횡령했다. 이 사건은 1580년에 드러났고, 선조는 윤옥을 관직에서 파면했다. 그러나 윤옥이 이미 명종의 승인을 받아 혼례에 면포를 사용했다고 주장하자, 선조는 그의 재산을 몰수하더라도 부당 이익을 환수할 수 없다고 판단하여 더는 처벌하지 않았다.[47][48][49] 윤옥은 1584년에 사망했다.[50]
2. 4. 사망과 임진왜란
1592년 3월 3일, 창경궁 통명전에서 사망하였다.[81][5][51] 사망 후 시호로 '''공회'''(恭懷)가 내려졌다.[52]창경궁에 빈소를 마련하고 장례 절차를 진행하던 중, 사망한 지 한 달도 채 되지 않아 임진왜란이 발발하였다.[29][46][53] 1592년 4월 28일, 선조가 한양을 버리고 고양으로 피난길에 오르면서[81] 궁궐은 큰 혼란에 빠졌다. 선조는 빈의 시신을 궁궐 뒷마당에 임시로 묻으라고 명했지만,[51][54][55] 빈소를 지키던 관리들은 후원(함춘원)에 시신을 옮겨 묻으려 하였다. 그러나 관이 너무 무거워 옮기지 못하는 사이[81] 일본군에 의해 궁궐에 불이 나고 약탈이 벌어졌고,[29][46][53] 관리들도 모두 흩어져 버려 시신의 행방을 알 수 없게 되었다.[81]
궁인들은 평소 불교를 독실하게 믿었던 빈이 뜻하지 않게 화장(火葬)된 셈이니, 이는 오히려 고인의 뜻에 부합하는 것이라며 비통해했다고 전해진다.[81][42][56]
1593년 선조가 한양으로 돌아온 후 빈의 관이 사라진 것을 확인하였다.[51][54][55] 선조는 빈의 넋을 부르는 의식을 거행하려 했으나 신하들의 반대로 무산되었고,[51][54][55] 시신을 찾기 위해 추정 매장지를 파헤쳤지만 사람의 뼈가 아닌 다른 동물의 뼈만 발견되었다.[46][57] 결국 공회빈의 유해는 끝내 찾지 못했다.[46][57] 《선조수정실록》에는 이러한 전란 속 비극적인 상황이 기록되어 있다.[81]
2. 5. 사후
시호는 '''공회'''(恭懷)이며, 묘소는 서오릉 내에 위치한 '''순창원'''(順昌園)이다. 순창원의 원래 이름은 순회묘(順懷墓)였으나, 고종 대에 순창원으로 이름이 바뀌었다. 전란 중에 시신의 행방을 알 수 없게 되어, 현재 묘소에는 시신 없이 빈 재궁(관)만 묻혀 있다.공회빈 윤씨는 1592년 3월 3일 창경궁의 통명전에서 세상을 떠났다.[5][51] 한 달 뒤인 4월, '공회'(恭懷)라는 시호를 받아 이후 공회빈으로 불리게 되었다.[52]
그러나 공회빈이 사망한 지 한 달도 되지 않아 임진왜란이 발발하면서 제대로 된 장례를 치르지 못했다. 선조는 고양으로 피난을 가면서 궁궐 뒷마당에 임시로 매장하라고 명했으나, 이후 관리들은 시신을 창경궁의 정원인 함춘원(含春苑)에 매장했다.[29][46][53] 하지만 전란의 혼란 속에서 창경궁이 약탈당하고 불타면서 시신은 결국 사라졌다.
1593년(선조 26년) 선조가 한양으로 돌아와 윤씨의 시신을 수습하려 했으나 찾지 못했다.[82] 당시 사평(司評) 이충(李忠)이 시신을 함춘원에 묻었다고 전해졌으나 그가 이미 사망한 뒤였고, 공회빈의 동생인 윤백상에게 찾아보게 했지만 끝내 찾을 수 없었다.[82] 《선조실록》 37권, 선조 26년(1593년) 4월 18일 (임인) 기록에 따르면, 선조가 시신을 찾도록 명했으나 끝내 찾지 못했다고 한다. 선조는 장례를 위해 공회빈의 넋을 부르는 의식을 고려했으나, 관리들은 부적절하다며 반대했다.[51][54][55] 살아남은 일부 시녀들은 공회빈이 독실한 불교 신자였으므로 화장이 그녀의 마지막 소원에 부합할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했다.[42][56] 선조는 임시 매장지로 추정되는 곳에서 시신을 수습하려 했으나, 사람의 뼈가 아닌 다른 뼈들만 발견되었을 뿐, 공회빈의 유해는 끝내 찾지 못했다.[46][57]
1594년(선조 27년), 조정에서는 공회빈의 제사를 대제의 예에 따라 지내기 시작했고, 이후 매장지로 추정되는 곳에 군인을 보내 지키게 하였다.[58] 제사는 매년 설날, 한식, 단오, 추석과 기일에 남편 순회세자의 묘인 순회묘(順懷墓)에서 거행되었다.[58] 순회묘는 고양에 위치했으며, 두 명의 관리가 묘를 지켰다.[59][60]
1601년(선조 34년), 선조는 공회빈의 신주를 모시지 못한 것을 비통해하며 순회세자와 공회빈의 신주(神主)를 만들어 제사를 지내도록 예조에 명했다.[61][62] 《선조실록》 136권, 선조 34년(1601년) 4월 25일 (임진) 기록에는 선조의 비망기 내용과 함께, 임진왜란 당시 빈의 관이 버려졌고 이후 친족들이 매장했으나 왜적이 파내어 불태웠다는 사관의 부연 설명이 실려 있다.
1603년(선조 36년), 마침내 공회빈과 순회세자의 신주가 제작되어 순회묘에 합장되었다.[63] 하지만 시신이 없었으므로 빈 재궁만 안장되었다. 이 신주마저도 병자호란 때 강화도에서 분실되어, 1637년 전쟁 후에 새로운 신주가 다시 만들어졌다.[51][64][65]
1678년 숙종 때 명종의 신주가 종묘 정전에서 옮겨진 후, 순회세자와 공회빈의 신주는 순회묘에 안치되었고, 이후 공식적인 제사는 매년 한식에만 거행되었다.[66][67] 그러나 정조 시대까지는 봉은사의 승려들이 그들의 기일에 맞춰 제사를 지냈다고 한다.[68]
1871년 1월 30일, 고종은 순회묘의 이름을 '''순창원'''(順昌園)으로 바꾸어 같은 등급의 왕릉 명칭을 통일했다.[69][70]

순창원은 2006년 문화재청에 의해 도굴 미수 현장이 발견되어 언론의 주목을 받기도 했다.[83]
3. 가족 관계
공회빈(恭懷嬪) 윤씨(尹氏)는 1553년 음력 6월 1일에 무송 윤씨 윤옥(尹玉)과 파평 윤씨 부인 사이의 둘째 딸로 태어났다.[5][6]
형제자매들은 왕실과 연관된 가문과 혼인 관계를 맺었다. 언니는 세종대왕의 후손인 능성 구씨 구사열(具思說)과 결혼했고, 오빠 윤백순(尹百順)은 효령대군의 4대손 이천이(李賤伊)와 결혼했다.[7][8][9] 여동생은 정인지의 후손이자 세종대왕의 또 다른 후손인 덕수 이씨 이안성(李安性)과 결혼하여 이식을 낳았다.[10][11][84] 또한 첩의 아들인 이복 남동생 윤백상(尹百祥)이 있었다.[12]
친가 쪽으로 증조부 윤충보(尹忠輔)는 고려 말의 인물로, 조선 건국 후 관직에 나아가지 않아 태조로부터 충절을 인정받았다고 전해진다.[13]
외가인 파평 윤씨는 조선 시대에 정희왕후, 정현왕후, 장경왕후, 문정왕후 등 많은 왕비를 배출한 가문으로, 윤씨는 외가를 통해 왕실과 먼 친척 관계였다.[14] 외할아버지 윤봉종은 공효로(孔孝老, 곡부 공씨)의 외손자이자 원경왕후의 육촌이었다.[15][16] 외할머니는 안동 김씨 김계함(金季諴)의 딸이었으며, 외가의 고모 중 한 명은 성종의 후궁인 명빈 윤씨였고, 외숙모 중 한 명은 정종의 4대손이었다.[17][18]
구분 | 관계 | 성명 | 생몰년 | 비고 |
---|---|---|---|---|
친가 | 조부 | 윤사익(尹思翼) | 1478 ~ 1563 | 증조부 윤충보(尹忠輔)는 고려 충신[13] |
조모 | 동래 정씨(東萊 鄭氏) | ? ~ 1545 | 정세걸(鄭世傑)의 딸 | |
아버지 | 윤옥(尹玉) | 1511 ~ 1584 | ||
언니 | 윤씨(尹氏) | 1539 ~ ? | 능성 구씨 구사열(具思說)의 처[7] (일부 기록 1570년 졸) | |
오빠 | 윤백순(尹百順) | 1552 ~ ? | 효령대군 4대손 이천이(李賤伊)와 혼인[8][9] | |
이복 남동생 | 윤백상(尹百祥) | 1554 ~ 1621 | 첩의 아들[12] | |
여동생 | 윤씨(尹氏) | 1555 ~ 1637 | 덕수 이씨 이안성(李安性)의 처[84], 이식(李植)의 모친[10][11] | |
여동생 | 윤씨(尹氏) | 1556 ~ ? | ||
외가 | 외조부 | 윤봉종(尹奉宗) | 원경왕후의 육촌[15][16], 공효로(孔孝老)의 외손자 | |
외조모 | 안동 김씨(安東 金氏) | 김계함(金季諴)의 딸, 고모 명빈 윤씨, 외숙모 정종 4대손[17][18] | ||
어머니 | 파평 윤씨(坡平 尹氏) | 1515 ~ 1572 | 정희왕후, 정현왕후, 장경왕후, 문정왕후 배출 가문[14] | |
시가 | 시아버지 | 명종(明宗) | 1534년 7월 13일 ~ 1567년 8월 12일 | 조선 제13대 국왕 |
시어머니 | 인순왕후(仁順王后) | 1532년 7월 7일 ~ 1575년 2월 22일 | 청송 심씨 | |
배우자 | 순회세자(順懷世子) 부(暊) | 1551년 7월 11일 ~ 1563년 10월 16일 | 소생 없음 |
4. 평가와 유산
공회빈 윤씨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는 기록에서 찾아보기 어렵지만, 사후에도 왕실의 일원으로서 예우를 받았음을 알 수 있다. 그녀의 신주는 남편인 순회세자와 함께 모셔졌고, 조선 시대부터 현재까지 순창원에서 정기적으로 제사가 거행되고 있다.[58][63][75][76] 이는 비록 짧은 생애였지만 그녀가 왕세자빈으로서 가졌던 위치를 보여준다. 또한, 문경 봉암사에 있는 16세기 목조 아미타불 좌상이 그녀의 소유였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그녀의 신앙심이나 당시 왕실의 불교 후원과 관련된 유산을 엿볼 수 있게 한다.[77]
4. 1. 유산
공회빈 윤씨의 유해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조선 정부는 관리와 군인을 보내 순회세자와 공회빈의 제사를 준비했다. 1594년부터 제사는 매년 설날, 한식, 단오, 추석과 두 사람의 기일에 순회묘(順懷墓), 즉 순회세자의 묘에서 거행되었다.[58] 순회묘는 경기도 고양에 있는 의경세자의 묘 근처에 있었으며, 두 명의 관리가 묘를 지켰다.[59][60] 1601년, 선조는 세상을 떠난 순회세자와 공회빈의 제사를 위한 사당을 수도에 짓도록 명령했다.[61][62]1603년에는 공회빈과 순회세자의 신주가 제작되었으나,[63] 청의 조선 침략 당시 강화도에서 분실되어 1637년 전쟁 후에 새로운 신주가 만들어졌다.[51][64][65] 1678년(조선 숙종 재위 기간), 명종의 신주가 종묘 정전에서 옮겨진 후, 순회세자와 공회빈의 신주는 순회묘에 안치되었다. 이후 공식적인 제사는 매년 한식에만 거행되었다.[66][67] 그러나 조선 정조 시대까지 봉은사의 승려들이 그들의 기일에 제사를 지냈다.[68] 1871년 1월 30일, 고종은 순회묘의 이름을 순창원(順昌園)으로 바꾸어 같은 등급의 왕릉 명칭을 통일했다.[69][70]
대한제국 시기[71][72], 일제강점기[73][74], 그리고 대한민국 수립 이후에도 왕릉 제사는 현재까지 매년 거행되고 있다. 현재는 문화재청과 전주 이씨 종약원에서 제사를 준비하며, 순창원 제사는 양력으로 4월 14일(공회빈 기일)과 10월 6일(순회세자 기일)에 열린다.[75][76]
한편, 경상북도 문경시의 봉암사에는 16세기에 만들어진 목조 아미타불 좌상이 보존되어 있다. 이 불상은 1586년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임진왜란 이전 조선 초기 불교 미술의 중요한 유물로 평가받는다. 현대 학자들은 이 불상이 조선 왕실 소유였을 가능성이 높으며, 공회빈이 한때 소장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 불상은 2012년 2월 22일 대한민국 보물 제1748호로 지정되었다.[77]
참조
[1]
웹사이트
고양 서오릉 (高陽 西五陵)
https://www.heritage[...]
국가문화유산포털
[2]
서적
왕릉 가는 길
https://books.google[...]
쌤앤파커스
[3]
문서
In Lunar Calendar, the Princess consort was born on 1 June 1553 and died on 3 March 1592
[4]
서적
왕이 못된 세자들
https://books.google[...]
Gimyeongsa
2006
[5]
웹사이트
《順懷墓謄錄》(순회묘등록)
https://jsg.aks.ac.k[...]
디지털 장서각
[6]
서적
茂松尹氏大同譜 天 (무송윤씨대동보. 천 1/3)
https://genealogy.in[...]
회상사(回想社)
[7]
웹사이트
《璿源錄》卷之二十九·永膺大君派
https://jsg.aks.ac.k[...]
디지털 장서각
[8]
서적
綾城具氏世譜 卷之八 (능성구씨세보 권지팔 2/3)
https://genealogy.in[...]
古典出版社
1997-11-15
[9]
웹사이트
《璿源錄》卷之十八·孝寧大君四
https://jsg.aks.ac.k[...]
디지털 장서각
[10]
웹사이트
〈澤堂李公諡狀〉
https://db.itkc.or.k[...]
韓國學綜合DB
[11]
웹사이트
《璿源錄》卷之三十·桂陽君派
https://jsg.aks.ac.k[...]
디지털 장서각
[12]
웹사이트
《澤堂先生別集》卷之十二·庶舅尹百祥傳
https://db.itkc.or.k[...]
[13]
웹사이트
홈 > 디렉토리분류 > 인물 생애 정보 > 윤충보(尹忠輔)
http://people.aks.ac[...]
한국역대인물 종합정보시스템
[14]
서적
坡平尹氏昭靖公派世譜 (파평윤씨소정공파세보 2/2)
https://genealogy.in[...]
韓國譜學研究所
1994-05-11
[15]
서적
《曲阜孔氏世譜》
https://www.familyse[...]
회상사(回想社)
[16]
서적
《驪興閔氏世譜》卷之一
https://genealogy.in[...]
회상사(回想社)
[17]
서적
安東金氏翼元公派譜 卷一(안동김씨익원공파보 권일 1/5)
https://genealogy.in[...]
1992-01-26
[18]
서적
《璿源續譜》卷之一·定宗大王子孫錄·德泉君派
https://jsg.aks.ac.k[...]
장서각기록유산DB
1902
[19]
웹사이트
《明宗實錄》25卷,明宗14年10月12日第1條
https://sillok.histo[...]
[20]
서적
《大東彙纂》卷之一·君道·廢記
https://jsg.aks.ac.k[...]
1774
[21]
서적
朝鮮王朝面面觀
https://books.google[...]
白象文化
2021-09-14
[22]
웹사이트
《明宗實錄》26卷,明宗15年(1560年)7月20日第3條
https://sillok.histo[...]
[23]
서적
《昌原黃氏世譜》卷之五·判尹公派
https://www.familyse[...]
1957
[24]
웹사이트
《明宗實錄》27卷,明宗16年3月16日第1條
https://sillok.histo[...]
[25]
웹사이트
《明宗實錄》27卷,明宗16年5月24日第1條
https://sillok.histo[...]
[26]
서적
조선왕 시크릿 파일: 우리가 몰랐던 조선 왕들의 인성과 사생활 이야기
https://books.google[...]
Okdang Books
2019
[27]
웹사이트
《明宗實錄》27卷,明宗16年(1561年)7月21日第1條
http://sillok.histor[...]
2019-02-05
[28]
웹사이트
《明宗實錄》27卷,明宗16年(1561年)10月21日第1條
http://sillok.histor[...]
2019-02-05
[29]
웹사이트
《宣祖修正實錄》26卷,宣祖25年(1592年)3月3日第1條
http://sillok.histor[...]
2019-02-05
[30]
웹사이트
《明宗實錄》28卷,明宗17年3月6日第1條
https://sillok.histo[...]
[31]
웹사이트
《明宗實錄》28卷,明宗17年3月29日第1條
https://sillok.histo[...]
[32]
웹사이트
《四留齋集》卷之八 / 行年日記上
https://db.itkc.or.k[...]
韓國學綜合DB
[33]
뉴스
'[한국왕실의 여인불자들]19 순회세자빈 윤씨'
http://www.beopbo.co[...]
2007-11-19
[34]
웹사이트
《明宗實錄》34卷,明宗22年4月12日第1條
https://sillok.histo[...]
[35]
웹사이트
《國朝寶鑑》卷之二十二 / 明宗朝一
https://db.itkc.or.k[...]
韓國古典綜合DB
[36]
웹사이트
《秋坡集》卷之二 / 啓
https://db.itkc.or.k[...]
韓國古典綜合DB
[37]
웹사이트
《明宗實錄》31卷,明宗20年5月30日第2條
https://sillok.histo[...]
[38]
웹사이트
《芝峯類說》卷十九 / 宮室部·陵墓
https://db.itkc.or.k[...]
韓國古典綜合DB
[39]
웹사이트
《列聖誌狀通紀》卷十五 / 宣祖昭敬正倫立極盛德洪烈至誠大義格天煕運顯文毅武聖睿達孝大王·穆陵表石陰記
https://db.itkc.or.k[...]
韓國學古典綜合DB
[40]
웹사이트
《宣祖實錄》7卷,宣祖6年11月19日第1條
https://sillok.histo[...]
[41]
웹사이트
《眉巖集》卷之十 / 日記·刪節○上經筵日記別編·癸酉萬暦元年我宣廟七年
https://db.itkc.or.k[...]
韓國古典綜合DB
[42]
서적
Death, Mourning and the Afterlife in Korea: Ancient to Contemporary Times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ʻi Press]]"
2014-05-31
[43]
웹사이트
《眉巖集》卷之十二 / 日記乙亥
https://db.itkc.or.k[...]
韓國古典綜合DB
[44]
웹사이트
《青莊館全書》卷之二十六 / 紀年兒覽[下]·【修】本朝世年紀
https://db.itkc.or.k[...]
韓國古典綜合DB
[45]
서적
왕비로 산다는 것
https://books.google[...]
매일경제신문사
2020-10-22
[46]
웹사이트
《宣祖實錄》37卷,宣祖26年4月18日第3條
https://sillok.histo[...]
[47]
뉴스
양민 수십명 1년 군포 값 주자학 책은 양반 전유물
https://www.joongang[...]
2002-08-30
[48]
웹사이트
《宣祖實錄》14卷,宣祖13年8月7日第2條
https://sillok.histo[...]
[49]
웹사이트
《宣祖實錄》14卷,宣祖13年10月17日第1條
https://sillok.histo[...]
[50]
웹사이트
《坡谷遺稿》·贈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右議政兼領經筵監春秋館事尹公神道碑銘
https://db.itkc.or.k[...]
韓國古典綜合DB
[51]
웹사이트
《燃藜室記述》第十一卷 / 明宗朝故事本末·順懷世子
https://db.itkc.or.k[...]
韓國學綜合DB
[52]
서적
Ilsŏngnok: Chŏngjo vol. 75
https://books.google[...]
Minjok Munhwa Chʻujinhoe
1998
[53]
서적
The King at the Palace: Joseon Royal Court Culture at the National Palace Museum of Korea
https://books.google[...]
Designintro
2015-11-30
[54]
서적
韓國歷史與現代韓國
https://books.google[...]
臺灣商務印書館
2005-08-01
[55]
웹사이트
《宣祖實錄》第51卷,宣祖27年(1595年)5月26日第1條
https://sillok.histo[...]
[56]
웹사이트
《英祖實錄》第90卷,英祖33年(1757年)12月6日第1條
https://sillok.histo[...]
[57]
웹사이트
《宣祖實錄》第64卷,宣祖28年(1595年)6月2日第5條
http://sillok.histor[...]
2020-10-07
[58]
웹사이트
《宣祖實錄》48卷,宣祖27年2月22日第9條
https://sillok.histo[...]
[59]
서적
《增補文獻備考》卷七十一·禮考
https://books.google[...]
1908
[60]
웹사이트
《大東地誌》卷三 / 京畿道·高陽
https://db.itkc.or.k[...]
韓國古典綜合DB
[61]
웹사이트
《大東地誌》卷一·京都
https://db.itkc.or.k[...]
韓國古典綜合DB
[62]
웹사이트
《林下筆記》卷之十四 / 文獻指掌編·順懷廟
https://db.itkc.or.k[...]
韓國古典綜合DB
[63]
웹사이트
《宣祖修正實錄》37卷,宣祖36年3月1日第2條
https://sillok.histo[...]
[64]
웹사이트
《仁祖實錄》34卷,仁祖15年3月6日第1條
https://sillok.histo[...]
[65]
웹사이트
승정원일기 58책 (탈초본 3책) 인조 15년 5월 10일 정축 3/3 기사
https://sjw.history.[...]
《[[Seungjeongwon ilgi]]》
[66]
웹사이트
《銀臺便攷》卷之六·禮房攷·園墓
https://sjw.history.[...]
《銀臺便攷》
[67]
웹사이트
《燃藜室記述》別集第二卷 / 祀典典故
https://db.itkc.or.k[...]
韓國學綜合DB
[68]
웹사이트
승정원일기 1511책 (탈초본 82책) 정조 6년 6월 2일 정묘 35/38 기사
https://sjw.history.[...]
[69]
웹사이트
승정원일기 2759책 (탈초본 129책) 고종 7년 12월 10일 신미 8/13 기사
https://sjw.history.[...]
[70]
웹사이트
순창원위토(順昌園位土)
https://jsg.aks.ac.k[...]
디지털 장서각
[71]
웹사이트
순회묘축식(順懷墓祝式) - 順懷墓 祝式 只寒食及告由告安同
https://jsg.aks.ac.k[...]
디지털 장서각
[72]
웹사이트
각궁각원제축식(各宮各園祭祝式)
https://jsg.aks.ac.k[...]
디지털 장서각
[73]
웹사이트
각궁각원제축식(各宮各園祭祝式) - 順昌園 禧明祭祝式
https://jsg.aks.ac.k[...]
디지털 장서각
[74]
웹사이트
順懷世子 祝文
https://jsg.aks.ac.k[...]
디지털 장서각
[75]
웹사이트
원·묘제향
http://www.rfo.co.kr[...]
[76]
웹사이트
제향일정(祭享日程)
https://royaltombs.c[...]
[77]
웹사이트
문경 봉암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聞慶 鳳巖寺 木造阿彌陀如來坐像 및 腹藏遺物)
https://www.heritage[...]
국가문화유산포털
[78]
서적
순회묘등록(順懷墓謄錄)
[79]
서적
명정전에 나아가 세자빈을 책봉하는 예를 거행하다
1561-10-21
[80]
서적
의성전이 이어하다
1574-10-27
[81]
서적
순회세자빈 윤씨의 졸기
1592-03-03
[82]
서적
대신이 덕빈의 재궁을 찾아보는 일을 직장 윤백상에게 시키라고 아뢰다
1593-04-18
[83]
뉴스
문화재청, 서오릉 순창원(順昌園) 도굴 미수 현장 발견
https://news.naver.c[...]
[84]
문서
계양군의 외5대손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